별다른 이름 없이 손만두라고 적힌 간판이 걸린 부암동의 가정식 만둣집에서 신세계백화점 본점에 자하라는 이름으로 분점을 냈다. 직접 담근 국간장과 좋은 재료를 사용해 집에서 해 먹듯이 만든다. 색과 모양이 고운 서울식 만두는 까다로운 미식가들이 칭찬하는 맛. 곱게 빚은 만두는 선물용으로도 손색이 없다. 위치 신세계백화점 본점 10층 문의 02·310-5024(신세계점), 02·379-2648(부암동 본점)
포인트 소금 대신 국간장으로 간하고, 돼지고기에도 직접 담근 매실액을 넣어 양념한다.
재료 돼지고기 150g(다진 마늘 1/2큰술, 다진 파·다진 양파·참기름·간장 1큰술씩, 매실액·청주 2큰술씩, 다진 생강 1작은술), 쇠고기 50g(다진 마늘 1작은술, 간장·다진 파·다진 양파·참기름 1/2큰술씩), 두부·숙주 100g씩(각각 다진 마늘 1/2작은술, 참기름 1작은술, 소금·후춧가루 약간씩)
만들기 1 돼지고기와 쇠고기는 각각 분량의 양념을 넣고 고루 섞어 반죽한다. 2 두부는 체에 밭여 물기를 잘 뺀 뒤에 대강 으깨 분량의 양념으로 버무린다. 3 숙주는 살짝 데쳐서 송송 썰어 물기를 꼭 짠 다음 분량의 양념으로 버무린다. 4 볼에 준비해둔 모든 속 재료를 넣고 고루 잘 섞어 만두소를 완성한다.
1 쇠고기는 곱게 다져서 분량의 양념으로 간한 뒤 볶아둔다. 2 표고는 얇게 슬라이스해서 분량의 양념으로 버무려 볶는다. 3 오이는 돌려 깎아 곱게 채 썰어서 소금을 살짝 뿌려 절인 후, 물기를 꼭 짜고 달군 팬에서 볶는다. 4 볼에 준비한 모든 재료를 넣고 섞어 소를 만든다. 5 편수는 사방 7~8cm 정도의 사각형 만두피에 소를 올리고 네 귀를 가운데로 모아 붙여 빚는다.
경복궁 서쪽 담 앞에 자리한 메밀꽃 필 무렵은 이름처럼 봉평에서 가져온 메밀가루로 음식을 만든다. 맛을 보면 20년은 된 듯한 솜씨인데 생긴 지 겨우 4년 된 신참. 아주머니가 어릴 때부터 맛보고 일상적으로 해 먹었던 대로 만든 메밀전, 메밀만두 등 소박한 강원도 음식을 차려 낸다. 위치 경복궁 왼쪽 담을 따라 500m 가다가 왼쪽 문의 02·734-0367
포인트 봉평의 메밀가루로 피를 만든다.
재료 돼지고기 살코기 300g(다진 마늘 1½큰술, 다진 생강 2작은술, 다진 양파 3큰술), 두부 130g, 당면 50g(참기름 1/2작은술), 숙주 50g(소금 약간, 참기름 1/2작은술), 부추 1/4단, 대파 1뿌리, 소금·후춧가루 약간씩, 만두피(메밀가루 2컵, 따뜻한 물 1/2큰술 정도, 소금 1/2작은술)
만들기 1 볼에 메밀가루와 소금을 넣고 따뜻한 물로 반죽해 만두피를 만든다. 2 고기는 분량의 재료를 넣어 반죽한다. 3 두부는 물기를 꼭 짠 후 소금을 살짝 넣어 간해둔다. 4 당면과 숙주는 각각 삶아 건져서 송송 썬 뒤 물기를 짜고 분량의 양념을 넣어 버무려둔다. 대파는 흰 부분만 다져둔다. 5 볼에 모든 속 재료를 담고 소금, 후춧가루를 넣은 후 고루 섞어서 소를 만든다.
만들기 1 배추는 풋내가 가실 정도로 끓는 물에 살짝 데쳐서 다진 후 물기를 꼭 짠다. 분량의 양념을 넣고 고루 버무린다. 2 두부는 물기를 빼서 대강 으깨고, 대파는 다지고, 부추는 송송 썬다. 3 숙주와 당면은 살짝 삶아서 대강 잘라둔다. 4 볼에 준비해둔 모든 재료를 담고 소금, 후춧가루로 부족한 간을 해 고루 섞는다.
포인트 만두소에 마늘을 넣지 않는 것이 중국 만두의 원칙. 삼치의 살코기만 골라 생강을 넣어 비린내를 없앤다.
재료 삼치 1마리, 부추 50g, 생강즙 3큰술, 소금·후춧가루 약간씩, 겨자장(갠 겨자 1큰술, 식초 1/2큰술, 다진 마늘·물 약간씩)
만들기 1 신선한 삼치는 살만 발라내서 칼로 대강 다진 후 생강즙과 소금, 후춧가루를 섞어 양념한다. 2 ①에 송송 썬 부추를 넣고 고루 섞는다. 3 생선물만두는 충분히 익혀 식기 전에 먹어야 맛이 좋고, 고기만두보다 오래 익혀 먹는다. 팔팔 끓는 물에 빚은 만두를 넣고 끓어오르면 찬물을 부어 다시 끓이기를 두 번 정도 반복한 다음 만두가 떠오르면 건져낸다. 4 분량의 양념으로 겨자장을 만들어 찍어 먹는다. |
요리